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뉴스의 시대


기자라기보다 신문사 종업원이 더 걸맞겠다. 일부에서는 기레기, 기더기라고까지 비하하는데, 요즘 기자의 행태를 보면 그렇게 멀리 벗어난 말이 아니다. 기자라면 응당 약자에 대한 연민이나 사회적 부조리에 대한 분노, 또는 그 비슷한 것이 뉴스를 쓰는 바탕에 깔려 있어야 한다. 사주와 기자 자신들에게는 한없이 관대하고 정치적 반대편에 있는 이에게는 터럭까지 끄집어내어 사회적으로 매장 시려는 대한민국의 기자들. 예전에는 일부였지만, 이제는 극히 일부만이 그 혐의에서 자유로울 수 있다고 말한다면, 그렇게 박한 평가는 아니라고 나는 생각한다.뉴스는 우리 사회가 좀 더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 필요한 의제를 다루는데 특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100개의 사실 중에 1개의 특정 사안만을 반복적, 정기적으로 뉴스에 노출시킨다면, 사회 구성원이 갖는 자아 정체성은 심각하게 왜곡되고 만다. 책과 영화와 예술 작품은 사람의 의식과 사고방식을 형성하는데 큰 영향을 미친다고 늘 상 들어왔고, 충분히 인식하고 있다. 반면에 뉴스는 훨씬 더 오랫동안 더 큰 힘으로 우리 삶과 가치관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우리는 그에 대해 진지하게 관심을 기울인 적이 없다. 오히려 뉴스의 힘을 과소평가하고 자신도 모르는 채 생각의 일부를 조종당하고 있는지도 모른다.좋은 소식을 전하는 기사도 드물다. 개인이나 공동체에 신속하게 소식을 전파해서 위험을 예방하고 문제에 대한 건설적인 토론을 유발하며, 더 괜찮은 삶에 기여하도록 하는 것이 뉴스의 본령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최근의 뉴스는 그저 유명인의 신변잡기와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자극적인 기사로 많은 클릭수를 유도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 같다. 물론, 기자 자신들이야 사실 그대로를 소비자에게 전달한다고 믿고 있겠지만, 그건 인지부조화의 자기 위안, 자기합리화에 불과하다. 사회적 경제적 이익을 향한 욕망이 그 반대편의 자신은 꽤 괜찮은 기자이고 싶은 바람과 부딪히면, 인간의 두뇌는 창의적 능력을 발휘해서 교묘히 자신조차 속여가며 스스로 거짓 변명을 만들어내고 만다.또 한편으로, 그런 바람직한 뉴스를 생산해 내는 것이 너무도 어렵고 전문적인 일이기 때문에 낙담한 나머지 쓰레기 같은 뉴스와 꼬투리 잡기식 트집으로 사람들의 관심을 유도하는 것에 위안을 얻고 있는 것일 수도 있겠다. 어차피 이제 종이신문이 여론을 이끌었던 신문의 황금시대는 다시 오지 않을 테니까. 알량한 기자정신을 발휘하기에는 자신들의 위상이나 지위가 너무 쪼그라들었다. 어차피 바닥까지 내려갔으니 기득권에라도 잘 보여서 개인적 이득 정도는 챙기는 게 낫겠다는 생각이 드는 것이라고 추측해본다.뉴스를 확인하지 않고는 잠시도 참지 못하는 요즘의 현대인들은, 왜 그렇게 뉴스에 집착할까? 어쩌면 뉴스에 관심이 있다라기보다는 본능을 자극하는 위협, 욕망 등에 반응하는 것이라는 생각도 든다. 뉴스가 마땅히 다뤄야 하는, 가령 가난한 사람을 위한 복지 정책 이나 환경 개선을 위한 법률 제안 등 우리 삶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뉴스에는 관심이 없으니까. 아마도 수백만 년 전 우리가 사바나 초원에 살 때부터 야생의 위협을 늘 경계해야 했고, 경쟁자보다 번식에서 우위를 차지할 수 있는 방식에 민감하게 반응하게끔 진화했기 때문에 자극과 욕망에 쉽게 반응하는지도 모르겠다.알랭드보통의 이 책 <뉴스의 시대>는 뉴스가 마치 과거 위세를 떨쳤던 종교와 같은 방식으로 우리 삶을 지배한다고 말한다. 뉴스를 통해서 현재 나의 위치를 가늠하며, 행동방식을 수정한다. 위정자는 중요한 사회적 문제를 감추고, 자신의 이익을 공고히 하는데 뉴스를 활용한다. 의미 없는 기사를 흘러넘치도록만 하면 되니까 그렇게 어려운 일이 아니다. 뒤틀린 뉴스의 심각한 폐해에 대해 저자는 우리가 본래 원했던 뉴스의 그 본령으로 돌아가자고 말하고 있는 듯하다. 뉴스는 무엇보다 정신 건강, 건축, 여가, 가족관계, 연애, 회사 경영 방식, 교육과정과 신분질서 등 우리 삶의 더 나은 개선을 위해서 기록되어야 한다고 말이다.
일상의 철학자, 알랭 드 보통 뉴스에 탐닉하는 시대, 미디어에 중독된 우리에게 말을 건네다 아침에 눈을 뜨자마자 머리맡의 스마트폰을 켜고 인터넷 포털과 SNS에 올라오는 새로운 소식을 검색한다. 친구와 진지한 대화를 할 때도 중요한 업무회의 시간에도 틈만 나면 뉴스를 검색하는 것은 우리 시대의 새로운 습관이다. 수시로 뉴스를 검색하지 않으면 초조해질 정도로, 그렇게 우리는 이상하리만치 뉴스에 중독됐다. 그런데 혹시 뉴스는 천천히, 그리고 아무도 눈치채지 못하는 사이에 우리의 판단력과 자기를 차분히 돌아보는 명상의 시간을 빼앗고 있는 것은 아닐까. 우리는 왜 뉴스에 열광하는 것일까. 첨단 미디어 시대의 언론은 어떤 사명을 지녀야 하는 것일까. 일상의 불안과 곤경을 날렵하게 파고드는 작가 알랭 드 보통. 그는 이 책에서 뉴스를 소재로 우리 시대의 미디어를 둘러싼 풍경을 낱낱이 묘사하면서, 쇄도하는 뉴스와 이미지 들 속에서 좀더 생산적이고 건강하게 뉴스를 수용하는 방법과 현대 민주주의 사회에서의 언론의 역할에 대해 말한다.

프롤로그 정치 뉴스 해외 뉴스 경제 뉴스 셀러브리티 뉴스 재난 뉴스 소비자 정보 뉴스 결론

 

김재철 평전

어느날 문득 갑자기..창업주들의 자서전을 찾아서 읽고 싶어졌다.삼성의 이병철, 현대의 정주영, 대우의 김우중 등..생각보다 창업주들의 자서전이많이 유통되고 있지는 않았다.돈을벌기보다는 남기기 위한 목적이 컸기때문이 아닐까 싶다.동원. 지금도 여전히 많은 사람들에게 흔히 접할 수 있는 이름이다.참치, 음료, 그 외 여러가지 식품 등을 통해서.다른 것보다 참치에 있어서는 역시 아직도 동원의 점유율이라든지네임밸류라든지 등은 거대한 장벽을 이루고 있다.동원이

hgsea.tistory.com

 

파고다 중국어 HSK 5급 종합서

‘파고다 중국어 HSK 5급 종합서’는 HSK 5급 대비 필수 기본서로 듣기, 독해, 쓰기 영역의 개념 학습부터 실전 문제까지 종합적 학습이 가능한 교재이다. 영역별 유형 설명, 문제 풀이 전략, 실전 문제, 빈출 어휘 등 HSK 5급을 완성하는 풍부한 학습 컨텐츠를 20일 완성으로 제공한다. 듣기 제 1,2부분_ 대화형 문제 형식 출제 경향 및 문제풀이 전략 1. 어휘가 듣기의 힘이다! 공략비법 01. 컴퓨터와 전자 제품 문제 공략비법 02. 직업과

vopcx.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