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55)
국가는 강도다 이 책은 여러 편의 논문을 모아둔 논문집이라고 볼 수 있겠다.책으로서의 의미를 갖기엔 너무나 학술적이라서누군가가 학술적인 목적으로 읽으려는 것이 아니라면읽지 말 것을 권한다.역자 역시 충실하게 극단적으로 직역하여이 책을 인문학 서적 보다는 논문집에 가깝게 만들어 놨다.영어식 말을 그냥 날로 직역해 둔 글을 읽어 본 적이 있다면,바로 그런 식이다.내용은 국가는 쓸모 없이 사람들 등에 빨대 꽂아 먹는 깡패 집단이라는다소 극단적인 내용이고,5공 때 나왔다면 출판사 사장 물고문 당할만한 책이다.이 논문이 써졌던 그 당시엔 참신함이 있었을테지만,지금 시대엔 이미 이런 식의 미디어는 많이 접하고 있지 않은가.결론은 굳이 읽어보겠다면 말리진 않겠지만,다른 좋은 책도 많다는 이야기를 꼭 해주고 싶다. 동의 없는 과세는..
수능만만 영어듣기 모의고사 35회 (2017년용) 고등학교 학생이라면 한번쯤은 꼭 거쳐가야 할 책이라고 생각이 듭니다.기존 고등학교 1학년 모의고사 듣기보다는 다소 어렵지만, 고2정도 학생이라면 쉽게 듣기와 받아쓰기를 하면서 꾸준히 하다보면 만점을 받을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책입니다.내용도 구성면도 모든 듣기 책이 비슷하긴 하지만, 모의 대비책으로는 꼭 봐야하는 필수책이라고생각됩니다. 고1,고2 대싱책이라고 보심 좋을듯 하면, 고3학생이 듣기가 좀 약하다면 한번쯤 시도해 보는것도좋을 듯합니다.듣기 17문항 조정 등 2015학년도 수능 개편안이 완벽 반영된 수능 영어 듣기 실전 모의고사 문제집이다. 수능개편안과 최근 수능 및 평가원 모의고사를 철저히 분석하여 반영하였으며 실전 난이도를 반영하고 출제 가능성이 높은 문제들로 구성했다. 어려운 연음, 핵심 ..
존엄한 삶, 존엄한 죽음 1. 요약 。。。。。。。 ​ 책은 현대인들의 ‘죽음의 질’이 상당할 정도로 낮아졌다고 지적한다. 특히 질병사의 원인 중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암을 예로 들면, 다수의 사람들이 임종직전까지 공격적인 항암치료를 받느라 심신이 모두 탈진된 채 고통스러운 죽음을 맞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사람들이 품위 있는 죽음을 맞이하지 못하고 있는 이유로 저자는 죽음에 대한 성숙한 성찰, 소위 죽음학에 대한 연구의 부족을 꼽는다. ​ 책은 죽음에 대한 오랜 고민을 자산으로 가지고 있는 종교, 특히 그 중에서도 기독교적 배경을 언급하는 데 몇 장을 할애한 뒤, 뇌사, 안락사 혹은 존엄사, 완화치료, 고독사 문제, 자살 등 실천적인 문제들에 관해 논한다. 이를 통해 저자는 죽음에 대한 좀 더 깊은 논의와 정리가 이뤄지..
천천히 살아가는 인생의 지혜 1. 들을 것 대개 듣기보다 말을 하기를 더 좋아하지만, 다른 사람의 목소리에 조용히 귀 기울여 듣는 것도 중요하다. 상대방의 말을 들어준다는 것은 자신의 존재를 잊는다는 것이다. 급하게 대답하는 것을 자제하고 인생에 뜻을 세우는데 있어​​늦은 때라곤 없다​​​​ 다른 사람의 이야기에 몰입할 때 더 많은 것을 얻을 수 있으며 그만큼 삶은 성숙해진다. 2. 권태로울 것 권태로움은 아무 것에도 애정을 느끼지 않는다는 것이 아니라 일상의 사소한 마음으로 멀찌감치 느끼는 것이다. 만일 날마다 거절당하지 않는다면, 자신의 목표가 충분히 야심차지 않은 것이다 우리를 가두어 놓는 온갖 것들을 느긋한 마음으로 멀찌감치 서서 바라보며 기분 좋게 기지개를 켜고 만족스런 하품도 해보자. 그러나 ˝권태˝는 세상을 보다 성실하..
기계와의 경쟁 세상은 기술의 진보로 자꾸만 인력을 덜 필요로하는 쪽으로 진화하고 있다우리가 현재 목도하고 있는 현실이다.사무실엔 꽉찬 컴퓨터가 이를 증명하고 각종 자동화설비등이 이를확증시켜 준다저자는 새로운 기술혁신과의 선의의 경쟁을 통해서 좋은 일자리를 창출하자고 주장한다우리 모두가 풀어야 할 숙제가 양질의 고용은 기계와 함께를...1.기계의 진화가 가져온 현실: 고용에 대한 부정적 충격무인자동차가 사고 없이 완벽하게 도로를 주행하고, 컴퓨터가 퀴즈 대회에서 사람을 이기는 시대에 지금 우리는 살고 있다. 기술 발전의 산물이 인간의 역할을 대신하고 인간의 일자리를 위협하는 현실에 우리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이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사회 문제에 대해, 미국 MIT 경영대학원 교수인 저자들은 수년간에 걸친 연구와 조..